str3 = '문자열에 번호를 매겨 특정 문자를 찾을 수 있는 기능'
print(str3[0])
print(str3[1])
print(str3[-1]) # 음수 인덱싱의 경우 뒤에서부터 접근함
# 출력된 값
# 문
# 자
# 능
2. 문자열 슬라이싱
문자열에서 원하는 범위를 추출하는 기능
str4 = '문자열에서 원하는 범위를 추출하는 기능'
print(str4[0:5]) # 0부터 5직전까지(5를 포함하지 않음)
print(str4[7:13])
print(str4[:13]) #처음부터 13 직전까지
print(str4[6:]) # 6부터 끝까지
# 출력된 값
'''
문자열에서
하는 범위를
문자열에서 원하는 범위를
원하는 범위를 추출하는 기능
'''
3. 문자열 함수
str5 = '문자열 함수는 문자열과 관련된 여러가지 기능들을 담고 있다'
# count() : 문자열에서 매개 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의 출현 횟수를 반환
print(str5.count('문'))
# 출력된 값
# 2
# find() :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인덱스로 반환
print(str5.find('문')) # index번호가 0
print(str5.find('함')) # 4
print(str5.find('뷃')) # 없으면 -1
print(str5.rfind('문')) # 끝에서부터 문자열이 나오는 위치를 반환
# 출력된 값
# 0
# 4
# -1
# 8
# index() :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열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인덱스로 반환(찾지 못할 경우 에러!)
print(str5.index('문')) # index번호가 0
print(str5.index('함')) # 4
print(str5.index('뷃')) # 없으면 -1 #ValueError: substring not found
# 출력된 값
# 0
# 4
# replace() : 특정 문자열을 치환
print(str5.replace('기능', '함수'))
# 출력된 값
# 문자열 함수는 문자열과 관련된 여러가지 함수들을 담고 있다
# upper() : 문자열을 모두 대문자로 변환
# lower() :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
str6 = 'APPLE apple Apple'
print(str6.upper())
print(str6.lower())
# 출력된 값
# APPLE APPLE APPLE
# apple apple apple